[에브리뉴스=이문경 기자]치약은 적당량을 칫솔모에 스며들도록 짜서 물을 묻히지 않고 바로 칫솔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치약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용 후에는 입안을 충분히 헹궈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구강보건의 날(6월 9일)’을 맞아 구강과 치아 건강 유지를 위해 치약·구중청량제의 올바른 선택법과 사용방법,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7일 발표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치약은 유효성분에 따라 제품별 효능‧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개인의 치아 상태와 제품의 유효성분(주성분)을 확인해 자신에게 맞는 치약을 선택해야 한다.

충치 발생이 염려되면 충치 발생을 억제하는 불소 성분이 함유된 치약이 좋다. 불소 함량은 제품에 표시된 사용상의 주의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치은염(잇몸에 국한된 염증)이나 치주염(잇몸과 잇몸 주위 조직까지 염증 파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알란토인류 등이 함유된 치약 사용이 도움 된다.
치태(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무색의 세균막) 또는 치석(무기질이 치아표면에 부착된 채 단단하게 굳어진 것)이 침착된 치아는 치태 제거 효과가 있는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이 함유된 치약이나 치석 침착을 예방하는 피로인산나트륨이 함유된 치약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치약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양치질을 할 때 치약을 삼킬 수 있으므로 의약외품 ‘구강청결용 물휴지’를 사용해 보호자가 치아와 잇몸을 닦아줘야 한다.
구중청량제(양치제)의 일반적인 사용법은 1일 1~2회 10~15mL를 입안에 머금고 30초 정도 양치(가글) 후 반드시 뱉어내면 된다. 입안에 소량 남은 것은 필요에 따라 물로 헹궈내고 사용 후 약 30분 동안은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구중청량제를 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세 이하 어린이는 보호자의 지도를 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에탄올을 함유한 구중청량제는 사용 후 음주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나 입안이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노약자는 에탄올 성분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 중 입안에 발진, 작열감 등 과민반응이 나타나거나 고열, 두통, 구역 증상이 있으면 의사·치과의사·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