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김종원 기자]경남 양산시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경남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 양산캠퍼스 약20만평의 부지가 폐허 상태로 수년간 방치되고 있어 양산시 발전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양사시 물금읍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 결정 당시 대하민국을 대표하는 미래첨단산업 기지로서 의료 생명공학 나노기술 정보통신 산업분야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요람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통령선거 국토균형발전 100대 공약에도 포함되어 ‘부산대의 공대이전’ 전망으로 물금읍 신시가지에 조성된 대단위 아파트에 유입된 인구가 2배 가까이 늘어 11만에 이르게 되었고, 인근 아파트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아파트가 분양되었으며, 상가 임대료도 인근도시보다 높게 임대되기도 했다.
그러나 28일 기자가 방문한 양산시 물금읍 상가는 30%가 넘는 공실로, 어느 도시 못지않은 경제 불황을 한 눈에 엿볼 수 있었다.
물금읍에서 프렌차이즈를 운영하는 L씨는 “양산시는 문 대통령의 사저가 있고,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에 단과대를 이전시키겠다는 공약을 해 놓고 지키지 않고 있다. 부산대 부지 30만평은 물금읍 중앙에 수년째 공터로 방치되고 있어 오히려 양산 발전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고, 부산대 단과대 이전이 이뤄 질줄 알고 문을 열었던 상가들은 이젠 기다리다 지쳤고, 파산지경에 내몰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부동산중개인협회 회장 K씨는 “양산 국회의원 윤영석 의원이 향노화 산학융복합 R&D센터를 유치했지만, 상인들을 비롯한 주민들 불만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다. 부산대 부지가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도로개설이 안 돼 외곽으로 돌아가 교통 불편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히 물금읍 아파트 입주자들은 인근도시의 근로자들이라 주거지에서의 소비가 미미해 베드타운 도시로 전락하고 있다는 위기감마저 있다”라며, “정치인들이 표를 달라고 공약만 하지 말고 그들을 믿고 입주하고 · 상가를 개업한 국민들을 생각하는 정치를 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부산대학교도 책임감 있게 단과대 이전이 힘들면, 대책을 수립해서 양산시민들이 더 이상 분노하지 않게 해줬으면 좋겠다. 부산대가 해결 안되면 청와대로 가서 해결 대책을 촉구하자는 여론도 있다”라며 심각성을 강조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