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김종원 기자]자유한국당 지도부간의 ‘불통’이 10일 내년도 정부 예산안 강행 처리를 막지 못했던 사안보다 더 심각성을 드러냈다. 신임 심 원내대표는 황교안 대표와 전임 나경원 원내대표 간의 협의 없이 민주당과 필리버스터 철회 합의를 해주고 의총에서 추인 받지 못함으로서 당내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한 심 원내대표는 9일 원내대표 출마의 변을 통해 자신의 최대 강점으로 강조했던 “싸워 봤고, 싸울 줄 아는 사람, 내주는 것은 줄이고 최대한 많이 얻어내는 협상을 하겠다”라고 밝혔으나, 10일 예산안 국회 의결 과정에서 ‘4+1 협의체’가 밀어붙인 국회 예산 의결을 막지 못했다, 이로 인해 패스트트랙에 올라 있는 법안들에 대한 대여 대응전략에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
심 원내대표의 여당에 맞서 싸울 줄 아는 사람의 협상력 시험대는 11일 임‘4+1 협의체’에서 국회에 상정 처리하기로 예고되고 있는 선거법개정안과 공수처설치법 국회통과 시도에 대한 대응과 결과에 따라 평가 받게 되었다.
자유한국당내의 의원들은 ‘패스트트랙 법안 통과 절대불가’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심 원내대표도 ‘절대불가’ 입장을 주장하고 있지만, 민주당이 협상안으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연동형비례대표를 20~30%로 낮춘, 지역구 250석, 비례대표 50석 안에 협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흘러나오고 있어 한국당 의총 결과에 따라 선거법 개정안도 여·야간 협의처리 가능성이 완전 배제된 것은 아니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공수처법안 중 기소권을 제한하고, 한국당은 250+50석의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포함된 선거법 조정안으로 합의처리” 안을 제시하기도 했고, 이에 반해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패스트트랙에 올라있는 선거법개정안을 11일 상정처리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을 하겠다”라고 여당을 압박하기도 했다.
‘4+1 협의체’ 단일안 도출이 11일 오전까지도 실패함으로서, 선거법개정과 공수처설치 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과 표결 일정에 대한 예상은 쉽지 않아 보인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