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강준영 기자]매년 통일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통일부는 정보시스템 등의 보완 취약점에 대한 보완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점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이태규 의원(국민의당·비례대표)이 통일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일부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정보시스템 취약점 점검(483건)과 웹 애플리케이션 모의해킹 진단(45건)에서 발견된 보안상 취약점 528건에 대해 개선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정보시스템 취약점 점검 후 보완조치에 대한 이행점검을 실시해 보완조치를 하지 않은 519건을 소속부서 등에 통보했으나, 이 중 483건은 개선조치를 했다는 회신을 받지 않았는데도 개선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거나 미조치 사유를 검토하지 않았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모의해킹 진단을 실시한 후 소속부서 등이 보완조치를 하지 않은 총 58건을 소속부서 등에 통보했으나, 45건에 대해서는 소속부서 등으로부터 개선조치를 했다는 회신을 받지 않았는데도 개선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거나 미조치 사유를 검토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감사원은 올해 3월 특정감사에서 통일부가 소속부서 등으로부터 개선조치를 회신 받지 않은 정보시스템 취약점 점검사항 483건과 웹 애플리케이션 모의해킹 사항 45건에 대해 실제 개선조치를 했는지 점검한 결과, 이 중 각각 150(31.1%) 및 4건 (8.9%)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통일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2017년 336건, 2018년 630건, 2019년 767건으로 2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규 의원은 “국가안보와 밀접하게 연관된 대북정책을 다루는 통일부의 안이한 보안의식이 문제이다”라며, “사후약방문이 되지 않으려면 발견된 보안상 취약점은 즉각 보완조치해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