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김종원 기자]지난 27일 이달 말 도입 예정이던 모더나 코로나19(COVID-19) 백신 일정이 조정됐다고 발표하며, 비밀 유지 계약이란 명분으로 구체적인 수량과 도입 시기에 대해 함구했다. 정부는 그동안 의료계 전문가와 국민들 사이에서 백신 도입 시기와 수량을 밝히라는 주장에 대해 백신 개발회사와 비밀 유지 계약을 이유로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원래 (모더나에서) 이달 25일 75만 도스, 31일 121만 도스 등 196만 도스를 받기로 한 게 연기됐다. 다음 주 일부 물량 공급이 확인됐다.”고 발언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여당 대표가 백신 도입과 관련한 정보를 공개하자 정치권은 물론 방역 당국도 유감을 표했다.
이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는 부분들(모더나 백신 도입 일정과 수량)이 다른 경로로 공개된 데 대해 유감을 표하며 송구스럽다”며 “(모더나가) 차주(다음주) 상당 물량을 공급하기로 했다는 내용도 비밀 유지 협약의 대상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송 대표의 발언이 페널티(벌칙)도 가능하다.”는 유감을 표명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비밀 유지 협약의 범위는 제약사와 협의 되지 않은 백신 가격, 세부 공급 일정, 면책 조항 등이 비공개 대상이다. 계약 물량, 최초 공급 시기(분기) 정도만 공개 가능하다.
앞서 지난 5월에도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이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국내 도입 예정인 백신의 수량과 종류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비밀 유지 계약 위반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국민들의 안위와 직결된 사안을 여당 대표가 방송에서 버젓이 공개해버리니 국민들은 어안이 벙벙하다”며 “만에 하나 협약 위반의 이유로 대금은 대금대로 지불하고 백신 공급이 중단되거나 연기된다면 국민에게 돌아갈 피해를 송 대표가 책임질 수 있겠는가”라며 정부여당을 싸잡아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모더나 측은 다소 차질이 있었던 백신 공급을 다음 주부터 재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