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23일 파업을 가결하면서, 오는 9월 14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서울 외 5곳의 지하철노조는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함께 1인 시위 등 공동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전국 교통공사는 코로나19가 겹치면서 큰 적자를 봤다. 이를 보전하기 위해 구조조정 등이 논의되자 노조가 이에 반발한 것이다.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도시철도노조는 전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각각 진행했고, 모든 곳에서 68% 이상의 찬성율을 기록하며 가결했다.
이날 노조는 서울 서대문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조조정 철회 ▲공익서비스 비용 국비 보전 ▲청년 신규채용 이행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설 전망이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공익서비스는 정부 정책으로 집행되는 것이다. 고령자와 장애인, 유공자의 무임승차는 정부가 결정한다”며 “그러나 책임은 오롯이 노동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서울교통공사가 구조조정을 논의하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풀이된다.
양 위원장은 구조조정 논의에 대해 “우리 사회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담론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노동자들을 자회사로, 민간위탁으로 이관하겠다는 구조조정 정책은 현실과 역행한다”며 비판했다.
서울교통공산 노조는 정부와의 대화에 진척이 없을 경우 9월14일 파업을 검토하는 중이다. 아울러 전국 지하철노조는 오는 26일 주요 역사에서 재정위기 해결과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하는 동시다발 1인 집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이는 정부가 노조의 요구를 무시할 경우에 한정된다. 노조는 “정부가 어떻게 책임을 다하느냐에 따라 (파업) 규모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고 여지를 남기면서도 “서울노조는 총파업을 결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앞서 서울교통공사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취임한 후 직원 1539명 감축, 복지 축소, 임금 동결 등의 지구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노조는 코로나19로 인한 적자를 노동자에게만 떠넘기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