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법제사법위원장 등의 자리를 놓고 다투던 여야의 갈등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과 행정안전위원장 자리로 확장됐다.
더불어민주당은 13일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 자리를 넘기는 대신 과방위원장과 행안위원장 자리를 받아가겠다고 했으나, 국민의힘은 행안위와 과방위 중 한 자리밖에 줄 수 없다며 거부했다.

먼저 입장을 밝힌 건 민주당이다. 진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3일 오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행안위와 과방위를 제외한 그 어떤 선택도 국민의힘 입장을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의힘이 ‘과방위를 넘길 수 없다’는 배경에는 방송 장악을 노골화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본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행안위에 대해서도 “윤 정부가 경찰국을 부활시켜 과거 치안본부체제로 돌아가려 하니, 경찰의 독립·중립성을 지키려면 행안위원장을 민주당이 반드시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도 같은 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관례상 법사위는 국회의장을 배출하지 않은 정당이, 운영위는 집권여당이 맡아왔다”며 “국민의힘에서 당연히 가져가야할 상임위를 두고 자신들이 양보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행안위와 과방위에 대해서도 “국가기능 및 조직 근본에 해당하는 행안위나 과방위 역시 여당이 당연히 맡아야 하는 상임위라는 게 국민의힘 기본 입장”이라며 “그럼에도 야당이 꼭 해야겠다면 원활한 원구성 협상을 위해 행안위는 넘겨줄 수 있다고 협상 과정에서 말한 바 있다”고 했다.
행안위는 최근 윤석열 정부가 행정안전부 산하에 경찰국을 신설할 것으로 예고하면서 최근 화두로 떠올랐다. 과방위는 피감기관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있는데,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알박기 인사로 분류되는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논란으로 부상했다.
송 원내수석부대표는 “(둘 중) 하나씩 나눠갖는 데 동의하고 민주당에 선택권을 주겠다”고 한 반면, 진 원내수석부대표는 “타협이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양측의 대치가 이어지면서 원구성 협상도 계속될 전망이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