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청회도 없었다”…마포구-경기 고양 항의도 문제

[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마포구민들이 14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포구 상암동 일원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에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구민들은 최근 서울시의 정책에 반대해 마포소각장 백지화투쟁본부를 구성하고 자원회수시설 반대에 나섰다. 지난 추석연휴기간에도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는 촛불문화제를 여는 등 반대 의견이 불어나는 상황이다.
이날 기자회겨견에 온 마포구민 한 명은 “우리 마포구가 서울시민들을 위해 몇십 년을 그렇게 고통받으며 (살았다)”면서 “그런데 여기에 더 큰 소각장을 또 짓는다는 거다. 이게 말이 되냐”고 맹비난했다.
특히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해서는 “자기들끼리 밀실에서 아무도 모르게 결정했다”며 “상암동에 소각장 더 크게 짓겠다는데, 이게 있을 수 있나”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포구민들의 반발은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시설들이 마포구에 편중된 데 대한 불만으로 풀이된다. 마포구는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가 생기기 전 매립지가 있던 곳이다. 현재도 소각장이 있으나, 서울시는 이곳 옆 주차장 부지에 100% 지하화된 추가 소각장을 세울 계획이다.
서울시는 매일 배출되는 쓰레기가 3200톤이지만, 현재의 시설로는 감당이 부족하므로 추가 시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오는 2026년부터는 쓰레기 직매립이 법적으로 불가능해졌고, 수도권매립지 만료 시효도 다가오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주민들은 과정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주민을 위한 공청회조차 없었다는 것이다. 이날도 이들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렇게 주민을 무시하는 독선적인 행정을 규탄하며 우린 결사반대한다. 마포구민은 서울시의 오만한 졸속행정을 반드시 저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민들의 우려 사항은 크게 ▲자원회수시설 증설로 인해 생길 유해물질 및 소음 ▲출입차량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 등이다. 서울시는 배출가스 허용기준도 법적 기준보다 높게 하고, 굴뚝 높이도 150m 이상으로 높아 피해를 최소화하려 하나 주민 우려는 불식되지 않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마포구에 지역구를 둔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반발하고 있으며, 특히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오 시장을 겨눠 “시장 자격이 없다”는 등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마포구 및 경기 고양시에서의 반발도 큰 상황이다. 마포구는 이미 박강수 마포구청장 명의로 성명을 내고 서울시의 결정에 대한 철회를 요구했으며, 바로 옆인 고양시에서도 항의하고 나섰다. 인접 지역인 만큼 피해가 우려되는데 서울시는 협의도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오는 15일 자원회수시설 입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과정 및 결과 개요를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향후 조사 결과에 대해 지역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주민설명회 등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