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국민의힘 차기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내년 3월 초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현행 ‘7 대 3’의 전당대회 룰 변경 가능성도 커졌다.
5선 중진의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번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반드시 100% 당원 경선으로 치러야 한다”며 “100% 당원경선을 통해 당대표를 뽑아야 한다는 건 제 오랜 정치적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행 제도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서 잘 아시다시피 여론조사 반영으로 그간 끊임없는 역선택 논란, 당의 통합마저 가로막았다”며 “당 대표가 당의 리스크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번 전당대회는 이런 소모적 논란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모범적인 전대로 치러져야 한다.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고 주장했다.
조 의원에 따르면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호주·캐나다 등의 선진국들은 당 대표 선거에서 일반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는다. 그는 “유독 우리나라만이 예외적인 선출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의 주인이 누구냐(고 물으)면 의원 누구나가 ‘당원’이라고 한다”면서 “그런데 룰에 대해서는 이해관계에 따라 오락가락한다. 모순”이라고 꼬집었다.
당 지도부도 변경 가능성 시사…비주류 어쩌나

현행 7 대 3 제도를 변경하는 것은 당 지도부에서도 긍정적인 분위기다. 정진석 국미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앞서 부산지역 당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1반 반장 뽑는데 3반 아이들이 와서 촐싹거리고 방해하고, 당원들 의사를 왜곡시키고 오염시키면 되겠나”며 ‘역선택’ 가능성을 지적했다.
또 “100만 책임당원 시대에 걸맞은 우리 당원들의 역할과 권한을 반여아고 여러분의 긍지와 자긍심을 확실하게 심어드리겠다”고 강조했다.
현행 당권주자로 꼽히는 인물 중에선 전당대회 룰 변경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사도 있다. 당내에서 비주류로 꼽히는 유승민 전 의원이다. 그는 지난 7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나 한 명 이겨보겠다고 전당대회 룰을 바꾸자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삼류 코미디 같은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당시 그는 룰 변경에 대해 “(반영 비율을) 9 대 1 이야기를 하던데, 민심을 확 줄이고 당심을 키우자는 것”이라며 “축구하다가 갑자기 골대를 옮기는 법이 어디 있냐”고 물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 13일 룰 변경을 견제했다. 그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국민의힘 지지층에는 당원도 있지만 비당원도 있다”며 “두 쪽이 힘을 합쳐 윤석열 대통령을 당선시킨 게 아니냐”고 짚었다.
이어 “지금도 사실 민심에서 역선택 방지조항이 들어가 있다. 국민의힘 지지자와 무당층을 합해 계산하니 지금 현재 7 대 3이라고 하는데, 즉 30%는 역선택이 아니라 우리 지지층”이라며 “비당원인 우리 지지층을 배제한다는 말은 국민의힘 지지층을 배제하겠다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