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7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등 한일관계에서 민감한 이슈들을 동시다발적으로 꺼내들었다. 최근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낸 것에 반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일본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반대하는 국회의원 모임’(의원모임)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윤석열 정부에는 강제동원 배상 방안 철회, 일본 정부에는 군함도 홍보시설에 강제노역 표시 및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시도 중단을 요구했다.
사도광산은 조선인이 강제징용된 일본 광산이다. 일본은 이곳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려 했으나 한국 측에서 강하게 반발해 양국 관계에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의원모임은 지난 3월 일본을 방문해 앞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에 강제징용 사실을 기술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4월 사도광산 방문, 5~6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방문, 8월 일본에서의 집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후쿠시마, 간토까지…한일 뇌관 줄줄이

이외에도 이날 오전 민주당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규탄 기자회견(주철현 의원), 간토특별법 발의 기자회견(유기홍 의원) 등이 예정돼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는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생기는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겠다는 계획으로, 우리나라는 인접국으로서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1년 국회에서는 여야가 모두 방류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간토특별법은 1923년 일본 간토대지진 때 벌어진 조선인 학살을 다루는 법안이다. 당시 일본은 수도권 일대에 규모 7.9 대지진이 강타해 혼란스러웠으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재일 조선인들이 무차별로 학살당했다.
앞서 정부는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제3자 변제를 뼈대로 한 해법을 제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7일 “그동안 피해자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며 자평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에 반발해 연일 강하게 비판해왔다. 7일에는 국회 앞에서 열린 시국선언에 당 지도부를 포함한 관계자가 다수 참석했으며,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시국선언에 동참해달라고 지지자들에게 호소하기도 했다.
이날 한일관계의 뇌관을 자극하는 연이은 기자회견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이름으로 예약된 것은 정부 행보에 대한 반발로 풀이된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에 양국 관계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재확인하는 셈이다.
안민석 의원은 민주당이 의도하고 동시다발적으로 기자회견을 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당의) 활동에 기름을 부은듯한 계기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