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김종열 기자] 앞으로 가림막과 잠금장치가 없고 통로에 접한 1면은 투명창 또는 개방한 룸카페에만 청소년의 출입을 허용한다.
여성가족부는 청소년의 변종 룸카페 등 유해업소 이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어 ‘청소년 출입·고용금지업소 결정 고시’를 개정 고시하고, 25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설된 고시 기준을 충족하는 룸카페는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다. 룸카페 사업자 또한 청소년 보호법 위반에 대한 부담을 덜고 안정적 영업을 할 수 있다.
새로운 개정고시에서는 청소년 등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투명성과 개방성 등의 요건을 강화했다.
룸카페 등 장소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영업은 큰 투명창 등을 설치해 시설형태의 개방성을 확보하면 청소년 출입이 가능한 업소로 인정한다.
우선 통로에 접한 1면은 바닥에서 1.3m 이상~2m 이하 부분에 대해 전체가 투명해야 한다. 출입문은 1.3m 높이부터 상단까지 투명해야 한다.
잠금장치는 없어야 한다. 벽면과 출입문의 투명창 일부 또는 전체에 가림막 등 어떠한 것도 설치되돼있거나 가려져 있지 않아야 한다.
다만 TV 등 비디오물 시청기자재와 컴퓨터 등을 설치한 곳은 영화와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과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청소년 출입금지’ 업소일 때믄 해당하지 않는다.
만약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존의 밀실 또는 밀폐형태의 룸카페는 기존과 같이 시설형태와 시설 내부의 설비, 영업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청소년출입·고용금지업소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다.
룸카페가 청소년출입·고용금지업소에 해당해도 성인 대상 영업은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 대상으로 영업을 하면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 위반 시에는 과징금 300만 원을 부과한다.
이기순 여가부 차관은 “개정된 고시 기준에 따라 개방성을 확보한 룸카페에 대해서는 단속부담을 줄이고 청소년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