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 청와대는 지난 11일 비서관 및 차관급 인사 발표 계획과 함께 14일 외청장 인선발표를 예고했지만 정부조직법 개정안 문제와 권력기관장 인선이 늦어지면서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을 비롯해 5명의 장·차관습 인선을 발표한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청장 인선은 현재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검찰총장의 경우 지난달 7일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가 김진태 (사시 14기. 경남) 대검 차장과 소병철(사시 15기. 전남) 대구고검장, 채동욱(사시 14기. 서울) 서울고검장 등 세 명을 추천한 상태다.
검찰 측에서는 기수 등을 고려해 채 고검장에 힘을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소 고검장을 추천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권력기관장의 경우 특정지역에 편중될 경우 거센 비판여론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안배에 신중한 고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국세청장으로는 조현관 서울지방국세청장이 유력하며, 박윤준 국세청 본청 차장, 김덕중 중부지방국세청장, 백운찬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국세청장 후보군에는 호남 출신이 없어 TK(대구·경북) 출신인 조 청장이 임명될 경우 특정지역 편중인사라는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청장의 경우 충북 출신인 김기용 청장의 유임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결국 이성한 부산지방경찰청장이 내정됐다.
전날 유정복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 청장에 대한 신임 경찰청장 임명 동의안을 경찰위원회에 제출해 15일 오전 긴급회의를 소집한 경찰위는 이 청장 임명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청와대가 여론과 정치권 안팎의 이목이 집중돼 있는 상태에 부담을 느껴
고심을 거듭해 인선이 미뤄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와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가 아직 임명장을 받지 못한 상태이며,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내정자의 경우 정부조직법 개정이 늦어지면서 국회 인사청문 절차조차 거치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국회를 향한 청와대의 무언의 압력일 수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현재 부처별 외청은 기획재정부 산하 국세청·관세청·조달청·통계청, 법무부 산하 검찰청, 국방부 산하 병무청·방위사업청,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청·소방방재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재청,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농촌진흥청·산림청, 지식경제부 산하 중소기업청, 환경부 산하 기상청,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경찰청, 국토해양부 산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 총 17곳이다.
< 저작권자 © 에브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기사제보 : 편집국(02-786-6666),everynews@everynews.co.kr >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