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내년 중국발 불황…주력 산업 대부분 타격”
“디스플레이, 내년 중국발 불황…주력 산업 대부분 타격”
  • 김미경 기자
  • 승인 2017.12.13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브리뉴스=김미경 기자]앞으로 2~3년 사이 자동차와 디스플레이, 반도체, 조선, 석유화학 등 국내 주력 산업 대부분이 중국발 불황기에 직면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KEB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2018년 산업 전망’을 발표하면서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시점을 이처럼 예측했다.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연구소는 올해 자동차를 시작으로 2018년 OLE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2020년 반도체·석유화학·조선 등 우리의 주력 산업 대부분이 연쇄적인 중국발 불황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LED, 철강, LCD, 휴대폰, 이차전지 등은 이미 중국의 경쟁력 강화로 장기불황을 겪고 있는데 앞으로 자동차, OLED,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도 이들 산업과 유사한 처지에 놓이게 될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중국의 위협은 양적 확장에 따른 공급과잉 유발이 대부분이었는데 앞으로 다가올 중국의 위협은 양적, 질적 성장을 포함하고 있어 이전보다 리스크의 질이 더욱 안 좋다”고 우려했다.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중국 기업들의 LCD, OLED, NAND, DRAM 공장들이 차례로 완공되기 시작하는데 생산규모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건설 중인 중국 LCD 공장이 모두 완공되면 증설 물량이 LG디스플레이 총 생산능력의 50%에 해당하고, 내년에 완공되는 중국 반도체 공장의 생산능력은 삼성전자 총 생산능력의 2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또 올해 한국 경제를 이끌었던 수출과 설비투자가 내년에는 큰 기여를 할 수 없다고 봤다. 올해 수출은 2015~2016년 2년간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를 배제하면 2014년 실적을 소폭 웃도는 수준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반도체, 원유, 금속 등의 가격효과를 제거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중국 경쟁력 상승에 따른 산업별 리스크

생산능력, 가동률, 출하, 재고 등 생산의 실질적인 요소들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에서 기저효과마저 소멸하게 됨에 따라 2018년 수출은 급격히 둔화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설비투자 역시 규모로는 거의 올해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율은 매우 낮거나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이 연구위원은 예상했다.

연구소는 이와 함께 IT, 자동차, 철강, 조선, 건설 등 한국을 대표하는 주력 10대 산업의 중장기 경기 사이클을 예측하고 이들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가중 평균해 종합 경기 사이클 전망을 내놓았다.

계절효과에 따른 단기적인 파동을 제거하고 중장기 추세를 그러보면 10대 주력산업의 종합 경기 사이클은 올해 1분기, 그리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으로 구성된 IT산업 경기 사이클은 올해 4분기를 정점으로 하향 추세로 전환된다고 이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연구소는 철강, 비철금속, 조선, 해운, 의류 등 5개 업종에 대해 현재보다 내년의 경기가 더 좋을 것으로 예상해 경기 전망치를 올렸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3개 업종은 경기 전망을 1~2단계씩 하향 조정했다.

김유진 수석연구원은 “올해 금속 원자재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내년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철강과 비철금속(제련 부문) 업체들의 실적은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마지황 수석연구원은 “올해 신조선가가 소폭 상승했으나 내년에도 지속적인 상승세가 기대되고 있다”며 “벌크, 탱커, 컨테이너 등 해상 물동량 증가율이 선복량 증가율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망을 상향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주완 연구위원은 “내년에도 반도체 호황은 이어지겠지만 미래 방향성과 성장률 등을 고려할 때 현시점에서 전망치를 한 단계 내리는 것이 현명하다”며 호황 업종인 반도체의 전망 하향 배경을 설명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제호 : 에브리뉴스 EveryNews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800 (진미파라곤) 313호
  • 대표전화 : 02-786-6666
  • 팩스 : 02-786-6662
  •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서울 아 00689
  • 발행인 : 김종원
  • 편집인 : 김종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열
  • 등록일 : 2008-10-20
  • 발행일 : 2011-07-01
  • 에브리뉴스 EveryNews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1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브리뉴스 EveryNew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verynews@every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