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김종열 기자] 우리나라 성인 남녀는 20~24세 때 처음 성관계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21일 질병관리청 의뢰로 수행한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의 국가 예방접종 확대를 위한 비용-효과 분석’ 정책 연구보고서(책임연구원 유수연 부연구위원)을 통해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자궁경부암 등을 일으키는 HPV의 일부를 예방하는 백신을 현행 여자 청소년에서 남자 청소년까지 무료로 확대 접종하는 방안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지난해 1월6일부터 3월18일까지 전국 성인(만19~59세) 3193명(남성 1573명, 여성 16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작성됐다.
이에 따르면 첫경험 시기는 남녀 모두 20~24세가 가장 많았다. 남성은 65.9%가, 여성은 57.4%가 20~24세라고 응답했다.
19세 이하에 첫 성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남성 8.9%, 여성 6.0%였다. 고등학교 시기의 성관계 파트너 유무(복수 응답)에 대해서는 고3때가 남성 57.1%, 여성 54.1%로 가장 높았고 ▲고2때 남성 47.1%, 여성 49.0% ▲고1때 남성 36.4%, 여성 32.7% 순으로 뒤를 이었다.
HPV 백신접종 여부에서는 ‘접종한 적 없다’가 남성 92.2%, 여성 69.3%로 가장 높았다. ‘접종 완료’는 남성 5.0%, 여성 26.1%였다. ‘미완료’는 남성 2.9%, 여성 4.6%였다.
정부는 2016년 6월부터 만12세 여자 청소년에게 HPV 2가 및 4가 백신을 무료로 지원했고, 2022년부터는 13~17세 여성 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까지 범위를 넓혔다.
이번 연구는 현행 만 12세 이상 여자 청소년 위주의 HPV 백신 접종 지원 대상에 만 12세 이상 남자 청소년을 추가하고, 접종 백신도 기존 2가 및 4가 백신에서 9가 백신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3개 시나리오로 나눠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것으로, 모든 시나리오에서 비용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PV 백신의 국가 예방접종(NIP) 사업을 남자 청소년까지 확대 시행하겠다고 한 윤석열 정부의 공약도 이행에 차질이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