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김종열 기자] 교육부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하는 코로나19 확진 수험생을 위해 전국 별도 시험장 수용인원을 총 1만2884명까지 대폭 확대한다. 또 확진 수험생이 증가해 입원 치료자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입원 가능한 병상 수를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현재까지 총 108병상을 확보한 상태다.

교육부는 수능을 3일 앞둔 14일 코로나19 재확산에 대비한 준비 상황을 공개하고 수험생을 대상으로 안내 필요 사항을 전달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일부터 질병관리청과 공동상황반을 구성해 시도별 확진 수험생 발생 상황을 매일 파악하고 있다. 지난 11일부터는 확진 수험생의 별도 시험장 배정, 시험장 환경 조성 등 수험생 관리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교육부는 “특히 수능 지원자의 약 50%를 차지하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확진 수험생 응시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전날 교육부 차관 주재로 서울·경기 지역 교육지원청 교육장 회의를 열어 수험생 관리 체계 등을 재점검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험생은 코로나19 확진 사실을 관할 교육청에 즉시 유선으로 통보해야만 신속하게 별도 시험장 배정과 필요한 응시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확진되면 교육청에 연락해야 한다는 사실을 특별히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수능 전날인 16일 검사를 받으면 신속한 응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아닌 신속항원검사로 빠르게 결과를 확인하고 관할 교육청에 신고할 것을 권장했다.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하는 병·의원과 보건소 선별진료소에도 협조를 요청했다. 수능 수험생이 확진되면 신속하게 보건소에 신고하고 ‘코로나19정보관리시스템’에 신속하게 입력하도록 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든 수험생이 안심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수능에 응시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만에 하나 수험생이 확진되면 관할 교육청에 바로 신고해 필요한 안내받기 바란다”고 전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