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김종원 기자] 여야가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간사와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로 구성된 2+2협의체를 3일 발족했다. 내년도 4월 치러지는 22대 총선에 적용될 선거제 개편 협의를 위해서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발족식에서 “(현재의 소선거구제는) 어떤 정당이든 현실적으로 자기 지지층을 결집해서, 어떻게든 한 표라도 이기려고 하는 정치에 몰입할 수밖에 없고 이게 극한 대립을 만든다는 분석이 많다”며 선거제도 개편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내년 4월 총선을 헌법 정신이나 선거법 정신에 맞춰 치르러면 아무리 늦어도 7월 중순까지는 선거법 협상이 마무리되고 그걸 토대로 정개특위에서 선관위와 함께 선거구 획정 작업을 8월 말까지 끝내야 할 것”이라며 “예년에는 대개 40일 내외 정도 기한을 앞두고 최종 선거구 획정이 됐는데, 올해는 적어도 4~5개월 앞당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국회는 이미 지난 4월 전원위원회를 여는 등 선거제 개편에 열을 올렸으나 끝내 결론을 짓지 못했다. 최종 합의안 도출을 위한 전원위 소위 구성 협상이 결렬되면서 선거제 개편 논의는 지지부진해졌고, 2+2협의체가 대안으로 부상했다.
여당은 선거제 개편 자체에는 동의하고 있으나 다소 이견을 보이는 상황이다. 이날 이양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비공개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선거제가 굉장히 중요하고 양당의 이익이 첨예하게 부딪힌다. 양당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어서 그걸 어떻게 맞춰가느냐에 따라 시기가 빨라질 수도, 느려질 수도 있다”며 시기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취했다.
송기헌 더불어민주당 수석부대표도 “양당이 쟁점이 되는 부분에 대해 결단을 어느 시점에 하느냐에 달려 있어서, 우리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예전의 일을 반복하지 않고 양당에서 결단했으면 좋겠다”며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