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간의 회동이 처음 거론된 지 한 달이 넘도록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토론이 주목받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7일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에게 “국민들이 보는 가운데 공개적으로 국정, 정치 현안, 민생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기를 기대한다”며 회동을 재차 제안했다.
이 대표는 “(김기현 대표 측이) 자구 비공식적 만남을 요청하고, 정책 대화를 제안했더니 앞으로는 하자고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자구 미루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며 “여야 대표가 비밀리에 만나 할 얘기도 있겠지만 지금 국민 삶이 어려운 상황인데 비공개로 만나는 모양새를 보여주려는데 공감하기 어렵다”고 했다.
여야는 최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와 ‘노란봉투법’ 입법 등 여러 정치 현안을 두고 대립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래경 혁신위원장 임명 건을 두고 천안함 논란까지 다시 점화해 양당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이다.
양당의 대립이 극에 치달으면서 일각에서는 송영길 전 대표와 이준석 전 대표의 2021년 공개토론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대선 정국이던 때 두 대표는 수차례 방송 토론을 이어갔다.
특히 9월 TV토론에서는 당시 이슈였던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한 부분적 합의를 이루기도 했다. 언론중재법은 언론의 허위 및 조작보도에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하는 법률로 당시 여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의 주도하에 추진됐다. 그러나 언론중재법은 피해자가 최대 5배가지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지만, 고의중과실 판정 기준이 모호해 언론 자유 침해 우려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토론에서 이 전 대표는 이 점을 문제 삼았고, 송 전 대표는 “고의 중과실 추정조항은 삭제하려 한다”며 비판을 수용해 토론에서 실시간으로 여야 대표가 합의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 외에도 양측은 코로나19 재난지원금과 대장동 의혹 등 당시 정치현안을 수차례 논의했다. 유의미한 이견 조정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대선을 의식해 양측 모두 중도적인 노선을 취했으며, 여야 대표가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