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안정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철회를 지시하면서 끝난 ‘영빈관 이슈’가 19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다시 나왔다. 야권에서는 영빈관을 추진하는 과정을 문제 삼은 반면, 여권에서는 ‘영빈관 설립이 문제가 되느냐’는 주장으로 맞섰다.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는 여야가 영빈관으로 팽팽히 맞섰다. 포부를 연 것은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다. 그는 “영빈관을 만든다고 878억을 숨겨서 넣었다. 민주당에서 이걸 찾아내지 않았으면 어쩔 뻔했나”고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따졌다. 그러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고함을 치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서 위원은 한 총리에게 “영빈관 예산을 알고 있으셨나”고 강하게 압박했다. 이에 한 총리는 “총리실 예산 등 그런 협의 과정은 결국 국무조정실과 비서실이 대부분 일을 하게 된다. 그게 국정이 돌아가는 하나의 제도”라며 “총리가 건물 짓는 걸(예산을) 다 알아야 한다?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서 위원은 “그럼 (윤석열) 대통령은 알고 계셨나”고 재차 압박했다. 한 총리는 “대통령과 그걸 논의할 시간은 없었다”면서 “당초 영빈관을 대통령 혼자 쓰는 게 아니라 장관이나 총리가 필요하면 (함께) 쓰도록 하려 했다. 그러나 국민들에게 현실적으로 충분히 이해시키지 못했다고 보고 (대통령께서) 철회하라 말씀하셨다”고 했다.
여권에서는 ‘영빈관은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맞섰다.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은 “영빈관은 분명 필요한 시설 아니냐”고 물었고, 한 총리는 “비서실이나 이런 곳에서는 분명 필요하다 생각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기존 청와대 시설이 국민들에게 개방된 만큼 정부의 중요한 행사를 할 공간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한 총리는 “옛날엔 (영빈관을) 대통령이 하는 행사에 썼는데, 그것보단 좀 돈을 들여서 짓는 거니 대통령 혼자 쓰는 게 아니라 장관들이나 국무총리가 비교적 큰 공간에서 해야 할 것들을 같이 쓰게 하는, 일종의 국가의 하나의 기관 내지 건물로 (짓자). 전 그렇게 생각할 수 있었겠다고 본다”고 답했다.
또 이 의원이 “전세계적으로 영빈관이 없는 나라가 있냐”고 묻자 한 총리는 “거의 다 있다. 사이즈는 조금씩 다르지만 다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어 이 의원의 “G10국가인 한국이 영빈관 없이 이 호텔, 저 호텔로 떠돌이처럼 외국인을 모시고 다녀도 되겠나”는 질문에 한 총리는 “경호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봤다.
다만 한 총리는 이 의원이 경제적 이익 등을 근거로 “당당하게 추진해도 된다고 생각한다”고 하자 “이미 대통령께서 결론내리셨다. 국민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안 됐으니 일단 철회하라고 지시하셨다”고 말을 아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